리더라면 정조처럼
![](https://blog.kakaocdn.net/dn/bZGFZg/btrqGTihCw0/9uqqkTnJRZn4Aa8y2eJJx1/img.png)
이 책의 저자는 김준혁 님으로 수원에서 태어나 지금까지 살고 있으며 지금 한신대학교 교수이자 정조와 화성 전문가이다.
2020년 6월 20일 발행이 되었으며 `문재인 대통령의 추천도서'이며 문화체육관광부 `이 달의 추천도서'로 선정되었으며, jtbc (차이나는 클라스) 화재의 강의에도 나왔다.
시대를 이끄는 지도자들의 롤모델, 개혁군주 정조 리더십으로 모든 이들에게 귀감이 되는 책이다.
그 내용 중 정조는 신궁(神弓)이었다. 그가 활을 쏠 때면 50발 중 49발을 쏘아 명중시켰다. 그런데 마지막 한 발은 과녁을 향해 쏘지않고 허공으로 날리곤 했다. 50발을 모두 명중시킬 수 있었으나 스스로 겸손하기 위해 마지막 한 발을 쏘지 않은 것이다. 그 이유가 참 멋지다. 멋진 리더다...
이 책은 정조의 리더십을 49가지의 정책과 실천의 사례로 풀어서 이야기하고 있다.
1장 공부하는 군주
정조는 엄청난 독서광이다 책에서 모든 지식을 얻었으며 무예 수련으로 신체를 단련하고 검소함을 실천했다.
2장 시대의 변화를 읽다.
공과사를 철저히 구분하며 사적인 감정을 배제하고 백성들을 위해 국가정책을 실천하고 장래를 위해서 식목 정책 가지 하였다.
3장 인재 등용으로 새로운 시대를 열다.
신분을 초월하여 인재를 등용하였으며 개혁과 미래를 이끌 인재를 양성하였으며 지역차별을 철폐를 하였다.
4장 강건한 군주
본인의 분노를 자제할 줄 알았으며 친인척을 멀리하고 현명한 인재를 발굴하였고 항상 백성과 함께 하였다.
5장 인간적인 모습을 보여주다.
참된 효를 실천하며 자신을 따르는 이들을 끝까지 보호할 줄 알았지만 측근의 잘못을 단호하게 처리하는 그런 임금이었다.
6장 포용의 정치를 추구하다.
백성들과 전문 기술자들을 존중하였고 중요한 일이 있으면 빈 술잔도 입에 대지 않았다.
7장 조선의 진경문화시대를 열다.
활자 주조로 문예를 부흥시켰으며 조선음악 무예 그림과 훈민정음을 활성화 시키며 무예를 발전시켜 국방력을 강화하였다.
![](https://blog.kakaocdn.net/dn/FyWGp/btrqHT9QJ87/dfXPdLc5LRxfpqhW2Rvp3K/img.png)
이 책을 읽으면서 리더뿐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읽고 정조처럼 마음가짐과 생활을 하면 어떨까 생각한다.
수원에 근무할 때 퇴근 후 만석공원에서 걷기를 하였는데 이 만석공원의 저수지가 정조 때 농민들의 자연재해로 물이 없어 농사를 짓지 못하는 것을 안타까워 인공적으로 만든 저수지라는 것을 알고 한번 더 옛 생각하게 된다.
아버지 사도세자의 얼울한 죽음으로 인해 많은 고통을 받고 살아야했던 정조는 아버지의 한을 풀어주기 위해 화성에 성을 축조하였지만 근본적인 이유는 국가 개혁을 위한 것이었다, 서울은 주상의 수도, 화성은 상왕의 수도, 이렇게 서울과 수원을 모두 수도로 만드는 양경체계를 기획한 것이다.
200여 년 전에 깨우친 임금으로 서양학을 받아들일 줄 알았던 정조... 우리 역사에서 정조만 한 인물을 만나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리더 #정조
댓글